일본 정부의 민족학교 탄압이 본격화하자 재일동포의 저항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재일동포들이 일본의 차별정책에 맞서 처음으로 전국적인 집단 투쟁을 전개한 것은 비록 ‘타국’에서...
한신교육투쟁은 재일동포와 조선 국적의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열쇠다. 그들이 목숨 걸고 지키려 했던 것은 단순한 학교가 아니라 한민족의 ‘정신과 정체성’을...
일본의 외국인 체류 관리 제도상 ‘조선 국적=북조선 국적’이라는 등식이 성립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무국적이나 다름없는 그들을 일본 정부가 제멋대로 북조선 국적자로 간주한 것은...
일본의 뿌리 깊은 조선 국적에 대한 차별의식은 정부 정책에서도 그대로 발현되고 있다. 특히 일본 정부는 조선 국적이 그 어떤 국가의 조력을 받을 수 없는 ‘국제적 미아 신분’인...
일본의 단일민족국가 지향과 함께 자국중심주의도 조선국적 차별을 낳은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조선국적 재일동포들이 ‘이동의 불편함’을 겪는 한편으로 일본에서 직면해야 할 문제
제목만으로도 해괴한 심리적 저항을 도발하는 이 주제는 가해자가 피해자를 차별한다는 게 모든 문제의 본질임을 밝혀두고 시작하겠다.
한국의 정권이 보수냐 진보냐에 따라 재일동포에 대한 배제와 포섭의 강도만 달라졌을 뿐 여전히 정책의 추진 주체인 조선 국적의 인권개선이나 국적 문제 등에는 근원적인 문제의식이 없다
조선 국적 재일동포들은 까다로운 여행 증명서 등의 발급을 통해 ‘선별적으로’ 모국 방문이 허용되어왔다. 하지만 이는 명백한 인권 침해이자 사상의 자유를 억압하는, 국가의 일방적...
‘조선 국적’은 ‘북한사람’이 아니다. ‘조선 국적’ 재일조선인이라는 존재에 대한 한국 정부의 인식은 너무도 왜곡돼 있고 여전히 냉전 시대의 인위적인 이념 사고에 머물러 있다.
사실 일본에서 한국 국적을 유지하면 취업이나 사업 활동에 차별과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고 공무원도 될 수 없다. 공직선거 입후보도 일부 지자체 선거를 제외하면 불가능하다
All information provided by us is free of charge and is for the public g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