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단일민족국가 지향과 함께 자국중심주의도 조선국적 차별을 낳은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조선국적 재일동포들이 ‘이동의 불편함’을 겪는 한편으로 일본에서 직면해야 할 문제
제목만으로도 해괴한 심리적 저항을 도발하는 이 주제는 가해자가 피해자를 차별한다는 게 모든 문제의 본질임을 밝혀두고 시작하겠다.
한국의 정권이 보수냐 진보냐에 따라 재일동포에 대한 배제와 포섭의 강도만 달라졌을 뿐 여전히 정책의 추진 주체인 조선 국적의 인권개선이나 국적 문제 등에는 근원적인 문제의식이 없다
조선 국적 재일동포들은 까다로운 여행 증명서 등의 발급을 통해 ‘선별적으로’ 모국 방문이 허용되어왔다. 하지만 이는 명백한 인권 침해이자 사상의 자유를 억압하는, 국가의 일방적...
‘조선 국적’은 ‘북한사람’이 아니다. ‘조선 국적’ 재일조선인이라는 존재에 대한 한국 정부의 인식은 너무도 왜곡돼 있고 여전히 냉전 시대의 인위적인 이념 사고에 머물러 있다.
사실 일본에서 한국 국적을 유지하면 취업이나 사업 활동에 차별과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고 공무원도 될 수 없다. 공직선거 입후보도 일부 지자체 선거를 제외하면 불가능하다
일본 사회가 ‘타자’에 대해 개방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를 보이던 시기에는 귀화자도 늘어났지만 2000년대 이후 평화헌법 폐지 주장과 아베 정권의 장기 집권이 겹치면서 우경화가...
현재 통칭하는 재일동포 혹은 재일교포는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이전에 일본으로 건너와 ‘특별영주자’ 자격을 가지고 사는 한국계 거주자를 의미한다
조선 국적이 한국 국적 재일 동포에 비해 10%도 되지 않는 소수이긴 하지만, 이들에 대한 일본 사회의 차별이 곧 재일 동포 전체에 대한 차별과 직결되기 때문에 조선 국적을 둘러싼
‘재일한국조선인’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재일동포를 나타내는 단어 안에 남한과 북한의 명칭이 함께 들어가 있는 것은 마치 한반도의 휴전선과 함께 분단된 조국의 현실을
All information provided by us is free of charge and is for the public good.